에르메스 쿼터 받으려면 얼마나 구매해야 할까? 실적부터 구매 꿀팁까지
에르메스 쿼터 받으려면 얼마나 구매해야 할까? 실적부터 구매 꿀팁까지
에르메스 쿼터 받으려면 얼마나 구매해야 할까? 실적부터 구매 꿀팁까지
안녕하세요, 시크님들.
오늘은 에르메스 쿼터 실적과 구매 끌팁을 알려드릴게요.
워크인으로 없무새 시절을 거쳐 드디어 얼마 전 첫 쿼터를 받았습니다. 생각 외로 정말 많은 분들이 축하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어요!
에르메스를 잘 아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정답은 없습니다. 교과서만 공부했어요 같은 재미 없는 문구지만 정말 그래요. 아래는 제가 겪어 왔던 스토리일 뿐 정해진 기준은 아닙니다!
다만, 약간의 팁은 있을 것 같아요. 워낙 셀러와 인간적 교감으로 쇼핑하는 특이한 셀링 방법을 취하고 있는 브랜드다 보니, 계산보다는 애정과 라포와 구매 스토리를 쌓아가면 더욱 즐겁게 쇼핑할 수 있는 브랜드인 것 같아요.
🧡 구매한 아이템 미리 보기
1. 에르메스에 관심을 가지다
처음으로 구입한 에르메스 아이템은 트윌리였어요. 20년은 된 것 같은데 아직도 쌩쌩합니다.
트윌리를 모으면서 자연히 까레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독공, 프공 직구까지. 옛날엔 직구가 되었어요. 지금은 안 됩니다. 간혹 매장 구매하면서 소소히 엘며들다가........
까레를 모았으니 까레링, 까레링 사러 갔다가 신발, 벨트, 칼비........ 뭐 이런 식으로 조금조금씩 사 모으게 됩니다.
2. 본격적인 워크인
그리고 이제 피코탄과 샹달링이 가지고 싶어집니다. 그때는 실적을 쌓는다는 건 생각도 못 했고 도산-압현-신강-신라 이렇게 주 2~3회씩 오픈런을 합니다. 당시엔 놀 때라 두 달 정도 했고, 가든파티와 피코탄 빼고 모든 가방 다 본 거 같아요. 찾는 건 꼭 눈에 안 띄죠. 그리고 신라에서 샹달링을 겟하고 두 달의 대장정 워크인을 마무리.
여기서 얻은 교훈. 피 붙여 사는 게 교통비와 정신 건강에 좋다.
3. 워크인 했는데 갑자기 비밀의 방으로
두서 없이 도산, 신라. 신강 제 멋대로 다녔기 때문에 당연히 실적도 다 찢어져 있었는데요. 쌓을 생각도 없었고요. 어느 매장에 가서 신발을 하나 사다가, 용기 내서 피코탄이 있냐고 물어봤어요. 그리고 비밀의 방에서 비스킷 18 은장을 만나게 됩니다.
그 당시 실적은 그 매장에서 500 정도. 잔잔바리로 자주자주 가서 샀고, 하도 자주 가서 눈에 익은 셀러분들 있으셨고, 타 매장 구매 내역도 좀 있었어요. 넌 에르메스를 좋아하는 애구나 싶어서 운 좋게 내주었던 것이 아닐지. 해당 년도 첫 번째 가방이었습니다.
아래는 제가 생각하는 팁.
- 리셀러 의심되는 후줄근 차림은 확률이 낮습니다.
- 남편이랑 같이 가면 승률 좀 올라가요.
- 들어가자마자 가방부터 찾으면 99% 확률로 없다고 해요.
- 뭐라도 사면서 물어보면 간혹 꺼내주는 경우 있어요.
- 너무 명품 휘감을 필요는 없지만 후줄근한 차림도 승률 낮아요. 적당히 깔끔하고 우아한 차림새.
4. 갑자기 번호를 받게 되다
워크인으로 실크류를 사던 날, 그 날 응대해주신 셀러분이 묘하게 친절하셨어요. 잘 안 들어오는 거 보여주시고, 필요한거 없으시냐고 하고 그래서 벨트를 요청했더니, 들어오면 연락주겠다고 하시더니만 정말 연락을 주시더라고요. 그렇게 간택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또 제멋대로 팁.
- 저는 어느 매장이건 셀러에게 예의를 중요시합니다. 갑을이란 생각 없이 친절히 대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인사합니다. 셀러도 사람인지라 마음이 갔을 거라 생각합니다.
- 귀찮게 안합니다. 이것저것 다 펴보라 하고 안 사고, 팔 물건인데 마구 손대거나 하지 않고, 잘 안 보이는 이염 같은 건 그냥 삽니다. 이건 제 성격. 물론 올나감이나 크리티컬한 건 안 되구요.
- 말투에 신경씁니다. 에르메스 뿐만 아니라 다른 데도 그렇습니다. 혹시 ~될까요? 괜찮으시면~? 등등 명령조가 아닌 부드럽고 편하게 들리는 말을 사용합니다. 막 기라는 얘기가 아니고, 아시죠? 상호 간에 예의 있게.
그래서인지 나중에 들은 얘기지만 인상 깊었던 고객이라는 말을 들었어요. 실제로 잘 챙겨주셨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5. 본격적으로 달림
번호를 받았으니 이제 달려보겠다는 일념으로 엘멧간이라는 단어에 부합하는 방문 횟수를 자랑하게 됩니다. 번호 받기까지 해당 매장에서 1년간 1500만 원 정도, 3개월간 300만 원 정도 실적을 갖고 있었습니다. 실제 달려 보니 이전 실적은 별로 반영된 거 같지 않아요. 번호 받은 뒤 실적부터 적용되지 않았는지 싶네요. 어차피 소소했지만.
1월 초에 번호 받으며 480만 원(실크, 숄 등), 며칠 뒤 첫 약속에서 360만 원(가죽 잡화, 실크), 그 다음주 830만 원(의류, 가죽 잡화, 포슬린). 1월에 두 번 더 방문해서 소소히 트윌리 등 구매. 1월 토탈 약 1800만 원.
2월 첫주 숄 200만 원. 중순 쯤 아더백 1개 받았어요. 백 제외하고 의류로 450만 원. 다다음날 2000만 원(설탕 주얼리, 의류, 포슬린, 실크), 며칠 뒤 2000만 원(설탕 주얼리, 의류, 포슬린).
이 때쯤 위시를 정리하여 전달했습니다. 그리고 일주일 약간 안 되어서 가방이 입고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위시는 먼저 얘기 꺼내진 않으셨고, 제가 때가 다가오지 않았을까 느꼈을 때 먼저 말씀드렸어요. '제 위시는 뭐뭐인데, 혹시 나중에 때가 되면 알려주세요.' 같은 식으로 부담스럽지 않도록 전달했어요. 한 번쯤 더 방문해야 하나 싶었는데 다행히 빨리 연락주셔서 예쁜 아이를 품게 되었습니다!
시크에는 너무나 대선배님들이 많으셔서 재롱잔치하는 기분이지만 귀엽게 보아주셨으면 하고, 혹시 아직 입문 전이시거나 첫 쿼터를 향해 달리고 있는 분들이라면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 첫 쿼터인 켈리 25 블금은 이제 저랑 같이 늙어갈 거예요. 다음 쿼터는 버킨이 찾아오길 바라며.
- 에르메스
- 트윌리
- 까레
- 샹달링
- 피코탄
- 피코탄18
- 에르메스켈리백
